AI 기반 안면인식 인증 솔루션이 금융권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알체라는 지난해 수주한 금융결제원의 안면인식 공동시스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올해 1월부터 공동시스템이 오픈되며, KB국민은행과 전북은행을 포함한 여러 금융사가 안면인식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신분증 위변조 및 도용으로 인한 금융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금융 보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알체라는 법무부 보호관찰소 등 다양한 현장에 안면인식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인천공항 스마트패스 2차사업 안면인식 시스템 공급과 정부종합청사 출입관리 AI 솔루션 공급 등 공공부문에서도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AI 안면인식 인증 솔루션의 작동 원리는 생각보다 정교합니다. 안면인증은 신분증 사진과 실시간으로 촬영한 고객의 얼굴을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기술입니다. 얼굴 이미지는 AI를 통해 수십 개의 Convolutional Layers를 적용받아, 얼굴을 N차원의 벡터 값으로 변환됩니다. 벡터 값은 개인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며, 신분증의 이미지와 대조하여 신원을 확인합니다.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첫 번째 단계는 감지입니다. 얼굴이 이미지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다음 단계는 분석으로, 얼굴의 특정 특징을 추출하여 벡터 형태로 변환합니다. 이후 인증 단계에서는 추출된 벡터를 기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합니다.
얼굴을 인식하면서 동시에 위조된 얼굴을 판별하는 라이브니스(Liveness)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알체라의 얼굴 라이브니스(Liveness) 솔루션은 카메라 영상만으로도 실제 사람의 얼굴과 사진을 구분해 다양한 부정 인증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라이브니스 기술은 카메라 종류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집니다. 얼굴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는 방식의 RGB 카메라는 조명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으로 가장 높은 난이도에 해당합니다. 알체라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스마트폰에 내장된 RGB 카메라 방식으로 iBeta의 위변조 성능 테스트(PAD)를 통과하며, 기술력과 범용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안면인식 AI 기업입니다.
Face Anti-Spoofing은 입력되는 얼굴 이미지가 촬영 당시 실제로 해당 장소에 있던 실제 사람으로부터 촬영된 것인지 확인하는 기능으로 IR, 3D Depth, RGB 카메라에서 모두 구동 가능합니다. 많은 적용 사례와 산업군이 증명하듯, 알체라의 Anti-Spoofing(위변조방지) 기술은 99%의 True Positive Rate을 지녀 신분 도용 등 사기 방지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AI 안면인식 기술의 비용 효율성도 시장 확산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지문 인식이나 정맥 인식 시스템은 별도 하드웨어 설치에 수십억 원이 들지만, 안면인식은 기존 CCTV나 스마트폰 카메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도입 비용이 저렴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API 서비스 확산으로 중소기업도 쉽게 안면인식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유통업계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영국 요티(Yoti)는 연령 제한 상품 구매 시 안면인식으로 나이를 자동 확인해 계산 속도를 높이고 위조 신분증 사용을 방지하고 있으며 무인 택배 시스템에서는 수령자 신원을 얼굴로 확인해 보안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최대 안면인식 테스트 NIST FRVT 국내 1위의 기술력으로 높은 인식율과 속도를 자랑합니다. 알체라는 99.9% 이상의 인식 정확도와 이동 중에도 1초 이내에 얼굴을 식별해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력 바탕으로 BMT에서 1위를 달성하며, 금융결제원의 신분증 안면인식 공동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알체라의 얼굴 라이브니스 기술은 미국 iBeta의 얼굴 위·변조 탐지 성능(PAD) 테스트를 통과하며 국제 표준 기준인 ISO 30107-3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국내 최초로 일반 스마트폰에 내장된 RGB 카메라를 사용해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사용자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지 않는 Passive 방식으로 위조된 얼굴 판별에 성공했습니다.
기술 발전과 함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공공장소에서 안면인식 기술 사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고 행방불명 아동의 수색, 임박한 테러 위협 방지, 중대한 범죄로 인한 피의자 검거 등에 있어 예외적 사용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메타(Meta)는 규제 불확실성과 사회적 우려 등으로 페이스북 로그인 시스템 등에 사용하고 있는 안면인식 시스템 가동을 중단하기로 선언하는 등 글로벌 기업들도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접근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안면인식 기술은 출입통제 시스템 및 비대면 금융결제 수단 등으로 도입 영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향후 인증기술 오류 가능성, 편향성, 개인정보보호, 사생활 침해 우려 등의 주요 이슈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AI 기반 안면인식 인증 솔루션은 편리함과 보안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인증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과 사회적 수용성 사이의 균형을 맞춰가며,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